맨위로가기

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1988년에 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세계 바둑 대회이다. 32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양재호 6단이 장수영 8단을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총 상금 1억원, 우승 상금 1,500만원 규모로, 한국 바둑의 국제화에 기여했으나, 중국 기사 불참과 낮은 상금 규모로 인해 미흡한 세계 대회였다는 평가도 있다.

2. 대회 개요

2. 1. 대회 방식

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32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2강전에서 양재호 六단이 야마시로 히로시 九단을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이시다 요시오 九단, 유창혁 三단, 이창호 三단도 각각 (故)전영선 六단, (故)조남철 九단, 박영찬 初단을 꺾고 16강에 합류했다.

16강전에서는 양재호 六단이 백성호 七단을 꺾고 8강에 진출했으며, 유창혁 三단과 이창호 三단은 각각 이시다 요시오 九단과 최규병 四단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양재호 六단이 서봉수 九단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고, 유창혁 三단은 이창호 三단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양재호 六단이 김희중 七단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고, 장수영 八단이 유창혁 三단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양재호 六단이 장수영 八단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2. 참가 선수

2. 3. 상금 규모

3. 대진 및 결과

(32강전)1988년12월 10일서울 종로구 관철동
한국기원(舊) 본선대국실 펑징화 四단 (故)김재구 八단250수 백 4집반승 장수영 八단 홍태선 六단224수 흑 불계승 양재호 六단 야마시로 히로시 九단259수 흑 5집반승 백성호 七단 김수장 七단200수 백 불계승12월 19일 이시다 요시오 九단 전영선 六단158수 백 불계승 유창혁 三단 (故)조남철 九단180수 백 불계승12월 20일 서능욱 八단 (故)하찬석 八단151수 흑 불계승 린성셴 四단 황원준 五단209수 흑 불계승1989년1월 16일 최규병 四단 이동규 九단157수 흑 불계승1월 23일 김희중 七단 홍종현 六단143수 흑 불계승2월 8일 서봉수 九단 조대현 四단181수 흑 불계승2월 17일 양상국 六단 정수현 六단221수 흑 6집반승4월 3일 (故)김인 九단 (故)이봉근 六단219수 흑 6집반승4월 21일 이창호 三단 박영찬 六단184수 백 불계승5월 2일 강훈(大) 七단 (故)김종범 四단202수 백 불계승5월 11일 윤기현 九단 노영하 七단241수 흑 2집반승본선 2회전
(16강전)1988년12월 12일 장수영 八단 펑징화 四단288수 백 5집반승12월 19일 유창혁 三단 이시다 요시오 九단258수 흑 2집반승12월 22일 서능욱 八단 린성셴 四단239수 백 5집반승1989년5월 23일 이창호 三단 최규병 四단125수 흑 불계승6월 4일 김희중 七단 강훈(大) 七단266수 흑 반집승6월 7일 양재호 六단 백성호 七단169수 흑 불계승6월 20일 (故)김인 九단 양상국 六단214수 흑 불계승7월 4일 서봉수 九단 윤기현 九단273수 흑 14집반승본선 준준결승
(8강전)7월 10일 장수영 八단 (故)김인 九단129수 흑 불계승7월 21일 유창혁 三단 이창호 三단246수 백 1집반승7월 28일 김희중 八단 서능욱 八단251수 흑 10집반승8월 2일 양재호 六단 서봉수 九단271수 흑 2집반승준결승전
(4강전) 장수영 八단 유창혁 三단258수 흑 1집반승8월 29일 양재호 九단 김희중 八단275수 흑 35집반승결승 1국9월 18일서울 광장동 워커힐호텔 양재호 九단 장수영 八단238수 백 2집반승결승 2국9월 29일서울 종로구 관철동
한국기원(舊) 본선대국실207수 흑 불계승결승 3국10월 7일 장수영 八단 양재호 六단258수 흑 4집반승결승 4국10월 20일 양재호 六단 장수영 八단151수 흑 불계승


3. 1. 32강전

1988년 12월 10일부터 1989년 5월 11일까지 32강전이 진행되었다. 대국은 서울 종로구 관철동 한국기원(舊) 본선대국실에서 열렸다.

대국일자승자패자결과
1988년 12월 10일 펑징화 四단 (故)김재구 八단250수 백 4집반승
1988년 12월 10일 장수영 八단 홍태선 六단224수 흑 불계승
1988년 12월 10일 양재호 六단 야마시로 히로시 九단259수 흑 5집반승
1988년 12월 10일 백성호 七단 김수장 七단200수 백 불계승
1988년 12월 19일 이시다 요시오 九단 전영선 六단158수 백 불계승
1988년 12월 19일 유창혁 三단 (故)조남철 九단180수 백 불계승
1988년 12월 20일 서능욱 八단 (故)하찬석 八단151수 흑 불계승
1988년 12월 20일 린성셴 四단 황원준 五단209수 흑 불계승
1989년 1월 16일 최규병 四단 이동규 九단157수 흑 불계승
1989년 1월 23일 김희중 七단 홍종현 六단143수 흑 불계승
1989년 2월 8일 서봉수 九단 조대현 四단181수 흑 불계승
1989년 2월 17일 양상국 六단 정수현 六단221수 흑 6집반승
1989년 4월 3일 (故)김인 九단 (故)이봉근 六단219수 흑 6집반승
1989년 4월 21일 이창호 三단 박영찬 六단184수 백 불계승
1989년 5월 2일 강훈(大) 七단 (故)김종범 四단202수 백 불계승
1989년 5월 11일 윤기현 九단 노영하 七단241수 흑 2집반승


3. 2. 16강전

16강전은 1988년 12월 12일부터 1989년 7월 4일까지 진행되었다.

대국일자승자패자결과
1988년 12월 12일 장수영 八단 펑징화 四단288수 백 5집반승
1988년 12월 19일 유창혁 三단 이시다 요시오 九단258수 흑 2집반승
1988년 12월 22일 서능욱 八단 린성셴 四단239수 백 5집반승
1989년 5월 23일 이창호 三단 최규병 四단125수 흑 불계승
1989년 6월 4일 김희중 七단 강훈(大) 七단266수 흑 반집승
1989년 6월 7일 양재호 六단 백성호 七단169수 흑 불계승
1989년 6월 20일 (故)김인 九단 양상국 六단214수 흑 불계승
1989년 7월 4일 서봉수 九단 윤기현 九단273수 흑 14집반승



3. 3. 8강전

1989년 7월 10일부터 8월 2일까지 제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의 8강전이 진행되었다. 8강전은 한국기원 본선대국실에서 개최되었으며, 대진 결과 및 승자는 다음과 같다.

대진승자패자결과
장수영 八단 vs (故)김인 九단 장수영 八단 (故)김인 九단129수 흑 불계승
유창혁 三단 vs 이창호 三단 유창혁 三단 이창호 三단246수 백 1집반승
김희중 八단 vs 서능욱 八단 김희중 八단 서능욱 八단251수 흑 10집반승
양재호 六단 vs 서봉수 九단 양재호 六단 서봉수 九단271수 흑 2집반승


3. 4. 준결승전

1989년 8월에 준결승전이 진행되었다. 준결승전 대진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진결과
梁宰豪/양재호한국어 六단 vs 徐奉洙/서봉수한국어 九단梁宰豪/양재호한국어
金熙中/김희중한국어 七단 vs 徐能旭/서능욱한국어 八단金熙中/김희중한국어
兪昌赫/유창혁한국어 三단 vs 李昌鎬/이창호한국어 三단兪昌赫/유창혁한국어
(故)金寅/김인한국어 九단 vs 張秀英/장수영한국어 八단張秀英/장수영한국어



8월 2일에는 梁宰豪/양재호한국어 六단이 徐奉洙/서봉수한국어 九단을 상대로 271수만에 흑 2집반승을 거두었다.

8월 29일에는 梁宰豪/양재호한국어 九단이 金熙中/김희중한국어 八단을 상대로 275수만에 흑 35집반승을 거두었으며, 張秀英/장수영한국어 八단이 兪昌赫/유창혁한국어 三단을 상대로 258수만에 흑 1집반승을 거두었다.

3. 5. 결승전

1989년 9월부터 10월까지 제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의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결승전은 양재호 6단과 장수영 8단의 대결로, 5번기(3판을 먼저 이기면 승리)로 진행되었다.

결승 1국은 9월 18일 서울 광장동 워커힐호텔에서 열렸으며, 양재호 6단이 장수영 8단을 상대로 238수만에 백 2집반승을 거두었다. 9월 29일 한국기원(舊) 본선대국실에서 속개된 결승 2국에서는, 양재호 6단이 207수만에 흑 불계승을 거두며 승기를 잡았다. 10월 7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결승 3국에서는 장수영 8단이 258수만에 흑 4집반승을 거두며 반격에 성공했다. 그러나 10월 20일 열린 결승 4국에서 양재호 6단이 151수만에 흑 불계승을 거두면서, 최종 전적 3승 1패로 제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의 우승을 차지하였다.

4. 주요 참가 선수

4. 1. 대한민국

4. 1. 1. 양재호

양재호 6단은 조훈현, 서봉수 9단에 이어 1980년대를 대표하는 프로 바둑 기사이다. 공격적인 기풍과 날카로운 수읽기를 바탕으로 '재미난 바둑'을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8년 제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세계적인 기사로 발돋움했다. 당시 양재호 6단은 국내 기전에서는 여러 차례 결승에 진출했지만, 번번이 준우승에 머무르며 '무관의 제왕'으로 불리고 있었다. 그러나 동양증권배 우승을 통해 세계 무대에서 실력을 입증하며, 한국 바둑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4. 1. 2. 장수영

장수영 8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ource`에 해당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4. 1. 3. 유창혁

유창혁은 당시 떠오르는 신예였다.

4. 1. 4. 이창호

이창호 3단은 당시 만 13세 9개월의 나이로, 1회 동양증권배에 최연소(만 14세 이하) 초청을 받아 출전했다. 그러나 이창호는 1회전에서 대만의 왕리청에게 패배했다.

이후 이창호는 2회 동양증권배에서 우승하며 세계 바둑을 제패하기 시작했고, '돌부처'라는 별명을 얻으며 세계 바둑계의 최강자로 군림했다.

4. 1. 5. 서봉수

서봉수 9단은 '야전사령관'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실리에 밝고 전투적인 기풍을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그의 독특한 바둑 스타일은 큰 주목을 받았다.

4. 1. 6. 김인

한국 현대 바둑의 선구자인 김인 9단의 마지막 세계 대회 참가라는 의미가 있었다.

4. 2. 일본

4. 2. 1. 이시다 요시오

이시다 요시오는 일본 대표로 참가하였다. 1966년 프로에 입단하여, 1974년 제22기 일본 왕좌전에서 우승했다. 1971년 제6기 일본 랭킹 1위전에서 우승하여 첫 타이틀을 획득하였고, 1971년부터 1975년까지 혼인보를 5연패하여 제24기 혼인보 칭호를 획득했다. 1984년 제9기 일본 작은기성전에서 우승하였다. 그의 전성기는 1970년대 초반으로 여겨진다.

4. 2. 2. 야마시로 히로시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주어진 제목과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3. 대만

4. 3. 1. 린성셴

4. 3. 2. 펑징화

펑징화에 대한 내용은 현재 제공된 정보에 없습니다.

5. 역사적 의의

제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최초의 세계 바둑 대회로, 한국 바둑의 국제화에 기여했다. 총 상금 규모는 1억원, 우승 상금은 1,500만원이었다. 양재호 6단이 이 대회에서 우승하며 세계 대회 첫 우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 대회는 국제 기전 총 상금 규모가 낮아졌고, 일본, 대만 등은 출전했으나 중국 기사는 참가하지 않아 미흡한 세계 대회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회 규모 역시 국내 기준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6. 비판 및 논란

대한민국 최초의 세계 바둑 대회였던 1회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여러 가지 면에서 비판과 논란에 직면했다. 국제 기전임에도 불구하고, 총상금 규모가 1억원, 우승 상금이 1,500만 원으로 낮게 책정되어 대회 규모가 국내 기전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일본과 대만 기사들은 참가했으나, 당시 바둑 강국이었던 중국 기사들이 불참하여 세계 대회의 위상에 걸맞지 않게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